성과(비즈니스) 콘텐츠

2025-07-21
리더십 성과관리 사회적증거의법칙 설득의심리학 21세기북스 사이비종교에빠지는이유 다수의무지 동조효과 다수의무지 바텐더1달러 과장광고 성과향상코칭 피드백 팀장리더십 과장리더십 코칭강의 피드백
설득의 심리학: 사회적 증거의 힘을 활용한 성과 관리

"

모두 비슷하게 생각할 때에는

아무도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

월터 리프만

"


사회적 증거의 법칙이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하는 행동을 보고

그 행동이 옳거나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경향

- 설득의 심리학, 로버트치알디니 -


예를 들어,

스텐드 바에 바텐더들은

영업 시작 전에 팁을 담은 유리병에

미리 1달러짜리 지폐 몇장을 넣어놓은 행위 입니다.

바텐더에게 팀을 남기는 것은 사회통상적으로 적절한 행위로

손님에게 팁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기도 합니다.

'가장 많이 팔린'

'무섭게 성장하는'

'1초에 한개씩 판매'

등의 광고메세지로

제품의 우수성을 알리기 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이 제품을 구입하고 있다는 메세지로

소비자를 유혹하기도 합니다.

사이비 종교에 빠지는 사람들에 대한 심리적 현상도

사회적 증거의 법칙을 토대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멀쩡하게 생긴 성도들이 믿고 따르는 모습을 보고

자신도 그 행동이 옳다고 여기게 된다는데서 시작됩니다.

다수가 따르고 있으니 이 종교의 가르침이 맞을 것이다. 라는

무의식적 믿음이 강화되는 것이죠.

이것을 '동조 효과'라고 합니다.

이렇게 동조가 된 사람은 집단의 신념에

점점 더 깊이 빠져들게 됩니다.

다수의 무지가 초래한 '제노비스' 사건

주변사람들이 행동하지 않으니, 나역시 행동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면서

초래하여 무참하게 살인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를 '책임 분산 효과'라고 합니다.

사람이 많을수록 개인은 책임을 느끼지 않게 되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이러한 심리는 조직에서도 유사하게 작용이 되는데..

문제가 발생했을때 아무도 책임지려 하지 않거나, 다른사람들의 반응을 보고

나의 행동을 멈추게 됩니다.

'내가 무슨 오지랖일까.. 다른사람도 가만히 있는데'하면서...말입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사회적 증거의 법칙'에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첫째,

조작된 사회적 증거에 대해서는 반격!

책임 회피를 막기 위해 명확한 역할 설정과 즉각적인 피드백(코칭)을 제공해야 합니다.

명확한 책임과 역할을 부여해야 한다.

팀원들이 다른사람이 하겠지..라는 생각을 하는 순간

조직 내 책임감과 행동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갑자기 일어난 문제상황에서

리더가 빠르게 개입하여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피드백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김과장이 PM입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김과장과 저에게 보고를 해주고, 해결책을 찾아서 도울께요"

역할과 책임의 구조를 명확하면 구성원들은 문제상황에서

소극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됩니다.

둘째,

긍정적인 사회적 증거로 재 창출!

팀원들은 다른팀원들의 행동을 보고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판단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팀내 리더는 팀내 긍정적이고 모범적인 사례가 공유되면

팀원들은 그것을 성과 기준으로 인식하고 따라하려는 목표(동기)가 생깁니다.

"팀원 여러분! 이번 우리팀이 B프로젝트에서

목표달성을 40%나 높이는 성과를 달성했네요.

다른팀들이 벤치마킹하고 싶다고 난리네요. 다른팀도 도움을 줄 수 있을꺼 같아요."



성과관리의 핵심

사회적 증거의 법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자!


사이비종교나 길거리 무반응은 모두 사회적 증거의 법칙이 자칫 잘못했을때 나오는 현상입니다.

그렇기에 이것을 역활용할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성공사례나 잘한 행동을 계속 공유하고 강조하고 칭찬하고 인정해주는것,

책임 구조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 즉, 다수가 아닌 특정 개인에게 책임을 부여하여

행동주도적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리더의 중요한 역할입니다.

여러분의 팀에서

어떤 변화를 시도해 볼수 있는지

한번 고민해 볼까요?


생각 나누기